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용한정보/재테크43

무자본 창업방법 돈이 없는데 돈을 벌 수 있는 노하우 몇가지 -블로그나 youtube 채널을 운영한다 무료로 블로그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여 광고 수익으로 돈을 벌 수 있다. 초기에 촬영장비등을 투자하고 이도 없다면 핸드폰으로 촬영 해도 무방, 단, 지속적으로 나올 수 있는 컨텐츠가 필요하며 대중적으로 인기가 있을 법한 영상주제를 찾는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제일 중요한것은 진정성이다. 구독자들을 속이면서까지 하는 유튜버는 나중에 뽀록나게 되어있다. 블로그나 유튜브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잘 운영될 시 저작권문제등을 미리 숙지해 둬야 손해 보지 않는다. -플랫폼 제공 서비스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어비앤비에서 숙박시설을 제공하거나, 배달의 민족, 쿠팡에서 배달 기사로 일할 수 있.. 2023. 5. 4.
가난의 대물림 가난의 꼬리 끊기 보통의 주부가 바라본 자본주의 실태 세 아이의 엄마인 나는 정규 대학과정을 나온 사람이다. 요즘은 그냥 대학과정을 나온건 쳐주지 않는다. 박사과정까지는 마쳐야 뭔가 한것 같이 느껴지는 요즘이다. 사교육은 늘 뜨겁고 심지어 드라마도 그런 현상을 희화시키는, 이것이 대한민국의 정상적인것이다 라는 은근한 합당성을 냄새를 풍기는 문화가 녹아들어있다. 일단 내가 가장 심각하게 여기는 문제는 예전에는(80년대~90년대) 종교적 힘으로 가난을 극복해내고 이겨낸 케이스들이 많은데 지금은 종교적으로도 문제해결이 안되는 극도로 경제 부흥의 임계점에 와있다는 현실이다.() 그러나 여기에 큰 함정이 있다. 모든 사람들이 주거를 해결하고 생계가 문제 없어 보이나 그것은 크나큰 착오다. 대부분 대출금을 깔고 시작한다. 빚이 없이 자가인 경우는 드문편이다. 천천히 .. 2023. 4. 17.
애플페이 사용처 및 방법(현대카드) 애플페이가 2023년 3월 21일부터 국내에서 사용이 됩니다. 우와!!! 어디서 사용 가능할까요? 1. 애플페이 국내 사용처 - GS25, 씨유, 세븐일레븐, 미니스탑, 맥도널드, 롯데리아, 파리바게트, 베스킨라빈스31, 블루보틀,쉑쉑버거,크림스피도넛, 공차, 투썸플레이스, 이ㅇ디야커피, 빽다방, 할리스커피, 다이소, 롯데마트, 이케아, 현대, 롯데백화점, 홈플러스, 농협하나로마트, 엘지전자, 애플샵, 롯데하이마트, 김가네, 그랜드하얏트호텔,롯데시내마 등이다. - 앞으로 더 추가될 예정이지만 현재까진 위 사용처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2. 앱에서도 가능 - 앱에서는 대략 아래와 같은곳에서 사용 가능하다. 3. 애플페이 지원카드는? 아직까진 현대카드가 유일하다. 아직까지 현대카드가 없다면 이번기회에 현대카드.. 2023. 3. 21.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대상자 및 홈페이지 주소 2023년부터 교육급여가 바우쳐 형식으로 변경됩니다. (카드를 등록하여 자유롭게 결재 할 수 있게 바뀌었으니 꽤나 좋아졌네요!!) 가. 교육급여 신청기간 * (사전등록) 2023. 3. 2.(목) ~ 20.(월) - 기존 수급 가정(학생)이 신청 가능하며, 신청을 완료한 경우 '23년 3월 중 바우처 우선 배정 * (본 신청) 2023. 3. 29.(수) ~ 2024 6. 28.(금) - 기존 및 신규 수급 가정(학생) 상관없이 신청 가능하며, 신청 후 2 ~ 5일 이내 바우처 배정 (선불카드 선택 시 별도 배송 및 본인 수령 확인 기간 소요) 나. 교육급여 신청대상 A.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이하인 경우여야 합니다. * 소.. 2023. 3. 3.
2023년 근로,자녀 장려금(최대 330만원) 신청자격 및 방법 1. 근로장려금 제도란?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사업자(전문직 제외)가구에 대하여 가구원 구성과 근로소득, 사업소득 또는 종교인소득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지급함으로써 근로를 장려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근로장려금은 가구원 구성에 따라 정한 부부합산 총급여액 등을 기준으로 지급액을 산정합니다. 2. 근로장려금 지급 기준(가구유형별) - 단독가구는 2,200만원 미만 홑벌이는 3,200만원 미만, 맞벌이는 3,800만원 미만인 경우 해당 - 2022년은 각 150만원, 260만원, 300만원까지 지원되었다. * 좋은소식은 2023년은 10%증가하여 아래와 같이 지원됨. - 2023년은 단독가구 165만원, 외벌이가구 285만원, 맞벌이 가구 33.. 2023.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