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18

숨고사이트로 아이들 피아노 과외 후기 피아노과외 우리집은 아파트대단지에 없기때문에 아이들 사교육을 하기가 참 힘들다. 예전에는 수영을 한번 가르치려고 그거 픽업만 하는데도 상당히 힘든일이란걸 알았다. 결국은 차량비용을 추가해 차량이용을 했었는데 다행히도 기사님이 푸근한 분이시라 아이들도 참 좋아했었다. 수영은 아직 아이들이 어린편이라 그런지 큰아이는 오리발까지 하고 그만뒀고 초 2, 유치원 딸 둘은 너무 힘들다고 해서 그만두기는 했다. 원장님이 많이 놀리며 시키는데도 체력적으로 쉽지 않은가보다. 어쨋든 수영편도 한번 글을 써볼 예정이고 오늘은 피아노 가르쳐본 후기를 글로 써보려한다. 큰 아이는 워낙 음악을 좋아하고 음감, 그리고 음 기억력이 좋다고 느껴져 2학년때인가? 코로나 터지기 전 학교 근처 차량이 되는 피아노학원을 보냈는데 문제는 피아노는 재미.. 2023. 1. 9.
겨울 방학 아이들과 가기 좋은 곳 파주 출판단지 지혜의 숲 겨울방학에 아이들과 함께 가기 좋은 곳을 찾다가 집과 가까운 파주 출판단지를 찾았다. 찾은 시간은 약 2시경이였는데 사람들이 정말 많았다. 밖은 많이 추워서 그런지 확실히 사람들이 실내에 많다. 주위를 둘러보니 다양한 사람들이 많았다. 책을읽으러 오기도 하고, 독서를 가장한 데이트를 하는 젊은 커플들...라떼는 참 데이트 장소들이 많이 없었는데 요즘은 이런 복합 문화공간이 많이 생겨나서 돌아다닐곳도 많다. 그리고 무슨 시험공부를 하는지 엄청 열심히 밑줄 쫙쫙 그어가며 공부하는 학생들도 더러 보였다. 평소 아이들과 집에서도 책을 많이 보는 편인데 오늘은 밖에 나가서 바람도 쐴겸 나가고 싶었다. 그런데 꽁꽁 언 날씨가 좀 풀리는 것 같아 그런지 땅이 질퍽해 밖에는 못 돌아다녔다. 아이 셋을 데리고 다니기란 .. 2023. 1. 8.
신년 목표 주부다이어트 성공하기 그리고 다이어트실패원인 주부라는 봉사가 세상에서 가장 고귀하다. 정말 경제적 가치로는 아무 의미 없지만 이 주부의 일이 없으면 모든 사회가 돌아가기 힘들 것이다. 난 아직도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 주부들에 대해 이 사회는 너무나 무례하다. 일개 몰상식한 주부들이 있다고 해서 모든 주부들이 그렇게 다 몰상식한 건 아닌데 말이다. 어쨋든... 주부란 보통 아이들을 돌보고, 집안을 돌보고, 남편을 돌봐야하기 때문에 아주 어린 영아, 유아가 있다면 다이어트는 솔직히 힘들다고 봐야한다. 그러나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아이들을 보내면 할 시간은 생기는데 가장 큰 장애물은 쉬고 싶기 때문에 애써 몸을 움직여 노동같은 운동을 또 하고 싶지는 않다. 그래서 보통 아주 어린 영유아 시절에 많은 주부들이 다이어트에 실패를 한다. 나또한 그러했다. .. 2023. 1. 7.
1인카페vs스타벅스 내가 생각하는 대형 프랜차이즈카페 집에 쳐박혀 유튜브 컨텐츠 촬영에 쩔어있다가 오늘은 오랜만에 바깥공기를 마실겸 밖에 나가서 머리를 식혔다. 정말...이 동네에는 딱히 괜찮은 ? 편한 카페가 없어서 매번 가는것이 스타벅스다. 베이킹을 할줄 알고 커피도 팔 자신은 있어서 카페를 열고 싶다가도 나부터가 편한 카페는 먼저 스타벅스라 카페의 문턱은 높고도 높도다. 정말 편하게 갈만한 곳은 결국은 스타벅스란 말인데... 매번 가면서도 편하다 느끼는 이유가 뭘까 생각해보면... 1.언제나 주차가 가능하다는 것 2.커피 카페인이 쎄다는것 3,앉을 공간이 넓다는것 4.골라먹을 디저트류가 항상 다양하다는것 5.직원들이 친절하다는것 그러니 작은 소상공인이 어떻게 저걸 이기냐고요...홍보며 마케팅이며 아무리 때려도...못이긴다. 이건 정답이다. 그러나 이들.. 2023. 1. 6.
2023년 근로,자녀 장려금(최대 330만원) 신청자격 및 방법 1. 근로장려금 제도란?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사업자(전문직 제외)가구에 대하여 가구원 구성과 근로소득, 사업소득 또는 종교인소득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지급함으로써 근로를 장려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근로장려금은 가구원 구성에 따라 정한 부부합산 총급여액 등을 기준으로 지급액을 산정합니다. 2. 근로장려금 지급 기준(가구유형별) - 단독가구는 2,200만원 미만 홑벌이는 3,200만원 미만, 맞벌이는 3,800만원 미만인 경우 해당 - 2022년은 각 150만원, 260만원, 300만원까지 지원되었다. * 좋은소식은 2023년은 10%증가하여 아래와 같이 지원됨. - 2023년은 단독가구 165만원, 외벌이가구 285만원, 맞벌이 가구 33.. 2023.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