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용한정보212 다이어트에 매번 실패하는 당신에게(경험) 이 글을 읽는 사람중 자신의 삶에 대해 소중함을 느끼지 않는 사람은 읽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자신 삶에 대해 욕심이 있고 자신의 미모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고 내가 이끄는 가정과 공동체의 미래에 더욱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싶은 여자라면 더더욱이나 이 글은 도움이 될것이라 자부한다. 이 글은 몇 킬로에서 몇킬로 뺐어요. 하고 단순히 다이어트 약광고 하는 글은 아니다. 그렇다고 체지방이 빠지는 원리를 교과서적으로 과학적으로 빠진다고 얘기하는 글도 아니다. 나는 판매를 할 만큼 팬덤도 없고, 다이어트과학자처럼 연구하는 사람도 아니다. 더더군다나 요즘 유행하는 명상 수업같이 새벽같이 일어나 '나는 이번주에 100킬로를 빼겠습니다 '하고 100번쓰기하는 글도 아니다. 그저 평범한 아줌마였고 아이를 셋 낳고 다.. 2023. 10. 11. 자녀에게 스마트폰을 사주는 시기, 스마트폰 폐해 우리반 친구들은 다 가지고 있다구요! 스마트폰~나도 사주세요! 이제 초등학교를 입한한 아이들은 주변을 살피게 된다. 작은 규모의 기관생활을 하다가 큰 물에 들어간 아이들은 주변을 더욱 의식하게 되고 한국인의 특성상 튀기 싫고 따돌림에대해 굉장히 두려워하기 때문에 더욱 더 남들과 다름에 있어서 예민해진다. - 아이들에게 스마트폰이 정말 필요한가? 깊이 숙고해보아야... 학교를 등하교할때 걱정이되고, 부모가 맞벌이해서 못 돌볼 때 계속 연락을 해야할 경우 핸드폰이 필요하다면 2G폰으로 대체할 수 있다. 그럼에도 아이가 스마트폰을 사달라고 하면 그때는 다른 기능을 아이가 원하는 것인데 (게임, 소셜)이럴때는 단호하게 거절해야한다. 어린 자녀일 수록 스마트폰 부작용은 매우 심각하다고 연구기관들의 많은 결과들이 .. 2023. 10. 10. 외동아이 키울 때 꼭 알아야할 것들(유용한 책 추천) 외동아이는 나약하게 자란다? 독선적이다?외롭다? 대한민국의 외동자녀 비율은 날이 갈 수록 늘어나고 있다. 공원 놀이터를 갈때마다 한 해, 한해 더 늘어나는것이 눈에 보일 정도다. 외동자녀 부부의 가장 큰 고민은 아이의 외로움, 사회적으로 잘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을까?라는 불안이 늘 깔려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는 그렇게라도, 한명이라도 아이를 낳은 부부를 너무 응원하기에 도움될 만한 글을 써본다. 일단 부모는 나의 자녀가 외동이라고 해서 너무 마음 약해져있을 필요가 없다. BBC news korea 기사 "외로움에 대한 5가지 놀라운 사실 들"중 이런 내용이 있다. -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은 사회성이 좋거나 보통이다 사회성은 흔히 다른 사람의 감정을 헤아리고 그것에 알맞게 대응하는 능력을 말한다. .. 2023. 10. 9. 아줌마가 처음 사본 샤넬화장품 레 베쥬 쿠션 늘 올리브영에서 아니면 홈쇼핑에서만 저렴이 화장품 쓰던 내가... 이 글은 샤넬 화장품 홍보가 아닙니다. 보통 서민아줌마가 처음 사본 명품 화장품 후기입니다. 보통 우리같은 서민들은 가끔 그런 생각하시지 않나요? 저 비싼돈을 주고 명품 화장품? 굳이? 하고요~ 30~40대 되어도 요즘은 사실 저가 브랜드 화장품들도 잘나오는 편이긴 해요. 왜냐면 명동가보면 중국인들이 더 페이스샵이라던지 에뛰드 같은 곳에서 한번에 쓸어담아가는 거 보면...외국인들도 한국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굉장히 높은거잖아요? 실제로 외국에 나갔을 때도 그랬어요. 장기간 해외살이 해야해서 애터미 스켄케어들 잔뜩 들고 갔는데 제가 한국에서 산 가격보다 높게 불러서라도 사려는 외국인들이 있더라고요. 암튼 국뽕은 여기까지 할게요. 그런데 또 .. 2023. 10. 8. 아이를 낳을지 말지 고민하는 것에 대하여 이제 부모 노릇은 겁나고, 불안하며, 양심에 걸리는 고민거리가 많은 일이 되었다. (버드런트러셀_행복의 정의 중) 추석명절이 지나고 또 다시 화두가 되는 자녀 출산 문제에 대해 생각하게 된 김에 글을 써보기로 했다. 나는 자녀가 3명이 있기는 하나 자녀를 출산하고 아이들을 기르며 게다가 작은 자영업까지 해봤기 때문에 사회생활도, 가정생활도 모두 해본 입장이라 할 수 있다. 아직은 아이들이 어리기는 하지만 그동안 내가 해왔던 많은 생각들, 그 속에 얻은 지혜들과 함께 50여년 전 씌어진 한 철학자 버드런트러셀의 '행복의 정의'라는 책을 기반으로 현대인들의 고민거리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나가보고자 한다. 이제 저출산은 과거 시대에 비해 꾀나 대중적이고 무뎌진 문화로 자리잡기 시작한 듯하다. 아이가 없는 것이 .. 2023. 10. 7. 이전 1 ··· 3 4 5 6 7 8 9 ··· 43 다음